자동차상식

타이어 규격 및 정보

김인호KIH 2008. 4. 30. 12:25

(1) 바이어스 타이어
바이어스 타이어의 카카스는 1 프라이(PLY)씩 서로 번갈아 코드의 각도가 다른 방향으로 엇갈려 있다. 따라서 코드가 교체하는 각도는 지면에 닿는 부분에서 원주방향에 대해 40˚ 전후로 되어 있다. 안정된 성능은 바이어스 타이어의 강점이다.

(2) 래디얼 타이어
래디얼 타이어는 카카스를 구성하는 코드가 타이어의 원주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열되어 있고 구조의 안정성을 위하여 트레드 고무층 밑에 원주방향에 가까운 각도로 코드를 배치한 벨트로 단단히 조여져 있다. 따라서 래디얼 타이어는 트레드부의 강성이 높고, 래디얼 구조의 카카스 코드에 의해 고속 타이어로서의 성능을 발휘한다.

Note : 벨티드 바이어스 타이어
바이어스 타이어의 카카스 위에 래디얼 타이어와 같은 벨트를 붙인 것으로 벨트의 효과에 의해 트레드부의 강성이 높아져 지면과의 접촉을 좋게 하여 조종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벨티드 바이어스 타이어는 바이어스 구조에서 래디얼 구조로 발전된 과정에서 생성된 타이어이다.

튜브리스 타이어
튜브리스 타이어는 자동차의 고속화에 따라 고속 주행 중 펑크 사고의 위험에서 운전자와 차를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 타이어는 튜브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타이어의 내면에 공기투과성이 적은 특수고무(인너라이너)를 타이어와 림으로부터 공기가 새지 않도록 구조되어 있으며, 주행 중에 못에 찔려도 공기가 급격히 빠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 밖에도 급격한 공기누출을 방지 하기 위해 인너라이너 내부에 밀폐성이 좋고 고착성을 갖는 시멘트를 붙인 튜브리스 타이어가 있다.

튜브리스 타이어의 장점
- 공기압의 유지가 좋다.
- 못 등에 찔려도 급속한 공기 누출이 없다.
-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직접 림에 접촉되고 있기 때문에 주행 중의
- 열 발산이 좋다.
- 튜브 물림 등의 튜브에 의한 고장이 없다.
- 튜브 조립이 없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튜브리스 타이어의 단점
- 타이어의 내축, 비드부에 흠이 생기면 분리(Separation)현상이
- 일어난다.
- 타이어와 림의 조립이 불안전하거나, 림 플랜지 부위에 변형이
- 있으면 공기 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 특히 비포장 도로를 주행할
- 경우, 노면의 돌 등에 의해 림 플랜지 부분이 손상을 입어 공기
- 누출을 일으킬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1) 여름용 타이어(Summer Tire)
눈이 오지 않는 시기(봄, 여름, 가을)에 사용하는 타이어로서 고속주행에 따른 소음 및 승차감, 조종 안정성을 우선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타이어이다. 일반적으로 별도의 지침이 없는 한 여름용 타이어는 일반 타이어를 의미한다. (국내에서는 여름용 타이어의 용어가 없다.)

(2) 사계절용 타이어(All Season Tire)
적설기간이 짧은 지역에서 여름용과 겨울용 타이어를 교체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트래드에 커프를 여름용 타이어보다 더 많이 설계한 타이어를 의미한다. 국내에서는 겨울용 타이어를 제외한 모든 계절용 타이어를 지칭한다.

(3) 스노우타이어(Snow Tire))
01. 일반 스노우 타이어
스노우 타이어는 승용차용, 소형 트럭용, 경트럭용, 트럭버스용 등 그 용도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강설지역에서의 스노우 타이어 사용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용(스노우)타이어의 트레드는 미세한 블록으로 나뉘어져 있고, 이것은 러그형의 구동력과 리브형의 옆미끄럼 방지의 장점을 각각 취하여 눈 위에서 주행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02. 스터드 스노우 타이어
빙결된 노면에서의 스노우 타이어는 일반타이어에 비해 상당한 효과가 있지만 구동력, 제동력, 옆미끄럼 방지 등에 대한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이에 스노우 타이어에 금속의 스터드 핀을 박아 넣어 빙결 노면에서 주행성능을 높인 것이 스터드 타이어이다. 스터드 타이어는 다음의 2가지 주의사항이 요구된다.
- 트레드에 단단히 고정되고 트레드를 손상시키지 않는 형상을 유지할 것
- 스터드 핀이 트래드 평면과 항상 적당한 정도로 돌출해 있을 것

03. 스터드레스 스노우타이어
스터드 타어이어가 설로, 동결로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반면, 스터드에 의한 도로파손이 야기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겨울용 타이어로 개발된 것이 스터드레스 스노우 타이어이다. 스터드를 쓰지 않고 미끄러지기 쉬운 악설로나 동결로에서 주행성능을 최대한 높인 스터드레스 스노우 타이어는 기존의 스노우 타이어보다 스노우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

04. 스노우타이어의 원리
타이어가 회전하면 눈 기둥은 트레드 홈 속에서 잘려 나가지 않으려고 어떤 종류의 저항을 하게 된다. 이것을 눈의 전단 저항이라고 하며, 스노우 타이어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기본적인 원리이다.


ㆍ추위에도 부드러운 고무
고무 배합 기술의 진보에 따라 아무리 추운 저온에서도 부드럽고 말랑말랑하여 눈이나 얼음에 밀착될 수 있도록 특수한 배합고무가 사용되고 있다.

ㆍ모든 도로에서 주행이 가능
겨울철 동결된 노면 및 적설, 답설로에서도 제반 성능이 좋아야 한다.

● Best ■ Good ▲ Regular

Snow tire
Studded tire
Studless tire

(1) 일반 타이어
그랜드 타이어라고 하며 응급용이 아닌 정규 타이어를 지칭한다.

(2) 응급용 타이어(승용차)
펑크 등의 손상에 의해 일반 타이어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타이어를 말한다. 응급용 타이어는 트렁크의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고, 차체 증량을 가볍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a) 꺽어 접는 응급용 타이어
(b) T 타입 응급용 타이어
응급용 타이어는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에만 사용 하도록 제조된 것이며 80km/h 이상을 주행해서는 안 된다. 또한 팽창 압력은 60ps를 유지해야 하며, 최소한 한 달에 한번 정도 공기압을 점검해야 한다.

(3) 런플렛 타이어
주행 중 펑크 등의 손상에 의해 타이어내의 공기압이 제로가 되어도 타이어 교환을 행할 장소까지 80km/h의 속도로 80km 주행 가능한 타이어를 말한다.

타이어 트래드(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특수한 타이어를 제외하고는 다양한 형상이 있다. 이러한 형상은 차량의 고급화, 고성능화, 그리고 장거리화 등 용도가 다양해지면서 점점 복잡하고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

성능 제동력,구동력의 증가
조종성, 안정성, 옆미끄럼 방지
경제성의 향상(내마모성 연료비의 절감)
타이어의 발열에 대한 방열효과
소음감소, 승차감의 향상
외관 상품가치의 향상(스마트함, 모양 좋음, 튼튼함 등...)

(1) 커프와 사이프(Kerf 와 Sipe)
커프와 사이프는 트레드 형상의 일부이다. 커프와 사이프가 트레드에 조각되어 있는 이유는 제동 성능을 좋게 하거나 옆미끄럼 방지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01.커프 (Kert)
타이어의 트레드면에 얇은 홈을 넣은 것을 의미하며, 타이어의 가류용 금형(몰드)에 칼 모양의 것을 장치하여 가류하게 된다.

02.사이핑 (Sipping)
강력한 제동력이 요구될 때, 완성된 타이어를 사이핑 머신(Sipping Mechine)에 걸어 가공한다. 최근에는 몰드에 커프가 많이 조각되어 있어 사이핑 가공은 거의 하지 않는다.

리브패턴
(Rib Pattern)
장점
  • 회전 저항이 적고 발열이 낮다.
  • 옆미끄럼 저항이 크고, 조종성이, 안정성이 좋다.
  • 진동이 적고, 승차감이 좋다.
단점
  • 다른 형상에 비해 제동력, 구동력이 떨어진다.
  • 홈부에 균열이나 파열이 발생하기 쉽다.
  • 포장로, 고속용
  • 승용차용, 버스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일부 소형 트럭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러그패턴
(Rug Pattern)
장점
  • 구동력, 제동력이 좋다.
  • 비포장 도로에 적합하다.
단점
  • 다른 형상에 비해 회전 저항이 크다.(연료비가 많이 든다)
  • 옆미끄럼 저항이 적다.
  • 소음이 비교적 크다. slippage
  • 일반도로, 비포장도로
  • 트럭, 버스용, 소형트럭용 타이어에 많이사용되고 있다. 또한 건설차량용, 산업차량용 타이어는 거의가 리그형이다.
리브 러그 패턴
(Rib Rug Pattern)
장점
  • 리브, 러그 타입의 장점을 살린 타이어로 조종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다.
  • 포장, 비포장도로를 동시에 주행하는 차량에 적합하다.
단점
  • 리그부 끝에서 마모발생이 쉽다.
  • RIB의 홈부에서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 포장, 비포장도로를 동시에 주행하는 차량에 적합하다.
  • 포장, 비포장도로의 양면 도로에서 사용
  • 트럭, 버스용에 많이 사용 되고 있다.
블럭 패턴
(Block Pattern)
장점
  • 구동력, 제동력이 뛰어나다.
  • 눈 위, 진흙에서의 제동성, 조종성, 안정성이 좋다.
단점
  • 리브형, 러그형에 비해 마모가 빠르다.
  • 회전저항이 크다.
  • 스노우타이어
  • 샌드서비스 타이어 등에 사용되고 있다.
비대칭 패턴
(Asymetirical Pattern)
장점
  • 지면과 접촉하는 힘이 균일하다.
  • 마모성 및 제동성이 좋다.
  • 타이어의 위치 교환 불필요.
단점
  • 현실적으로 활용이 적다.
  • 규격간의 호환성이 적다.
  • 승용차용 타이어(고속)
  • 일부 트럭용 타이어

 

타이어 치수 표기법 - 한국타이어 대형트럭_정보

 

타이어 총폭 타이어를 적용림에 장착하고 규정의 공기압을 충전한 후 하중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이어 측면의 프로텍트라인 및 문자등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간의 직선거리
타이어 단면폭 타이어의 측면의 프로텍트 라인 및 문자 등이 포함되지 않은 폭
트레드 폭 무하중 상태에 있는 접지면의 폭으로서 호 또는 현의 길이로 표시
타이어 외경 타이어를 적용림에 장착하고 규정의 공기압을 충전하여 하중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타이어 간격
단면높이 타이어의 외경에서 림의 지름을 뺀 후 1/2로 나눈 값
림 경 림 플랜지에 접하는 림 베이스 간 직선 거리. (타이어의 내경과 거의 동일)
림 플랜지 높이 림 플랜지 내면의 간격
정하중 반경 타이어를 적용림에 장착하고 규정의 공기압을 충전하여 정지한 상태에서 평면에 수직으로 두고 100%하중을 가했을 때 타이어의 측 중심에서 접지면 까지의 최단 거리

(1) 타이어의 편평비
타이어의 시리즈란 개념은 편평비와 동일한 개념이다. 타이어의 편평비는 단면높이를 단면 폭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얻어진 값이다. 편평비가 낮아질수록 타이어의 단면 폭이 증가하는 것이므로 사이드월의 유연성이 증가하게 되어 승차감이 좋아지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사용 용도에 따라서 적정한 편평비를 요구하게 되나, 요즈음의 추세는 고속성능의 차량에 맞추어 편평비가 낮은 타이어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예) 60시리즈란 = (단면높이/단면폭) X 100 = 60

(2) 타이어의 강도 표시
타이어의 강도는 플라이 레이팅(P.R)으로 표시하며 플라이 레이팅 숫자가 높을수록 고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타이어이다. 비슷한 말로 실사용 포층수라는 말이 있는데 종전 면코드지를 사용했을 때에는 실포층수만 표시하였고 강도가 높은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의 코드지 출현으로 플라이 레이팅(P.R)이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6. P. R 이란 실포층수는 6매가 아니지만 면코드 6매를 사용한 타이어와 강도가 같다는 의미이다.

(3) P.R 표기법
플라이 레이팅(P.R)의 표시방법은 예를 들면 6. P. R이라고 표시하기도 하고 약어를 사용하여 (로드렌지라 칭함) 알파벳 "C"로 표시하기도 한다.

A 2 G 14
B 4 H 16
C 6 J 18
D 8 L 20
E 10 M 22
F 12 N 24

타이어의 규격 표기는 메트릭 표기법, 알파뉴메릭 표기법, 뉴메릭 표기법 등 여러 가지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정한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소형트럭용 표기법
5.50 - 13 1.0 6PR
7.50 R 16 1.0 16PR
185 R 14 102 / 100 N 8PR
타이어 외경 단면폭 편평비 구조 타이어내경 단륜하중지수 복륜하중지수 최고속도 제품강도
31 x 10.50 15 R 15 109 Q 6PR
100 235 / 75 R 15 110 107 P 8PR
트럭,버스용 표기법
315 / 75 R 22.5 154 / 149 L
단면폭 편평비 구조 타이어내경 단륜하중지수 복륜하중지수 최고속도 제품강도
11.00 - 20 149 / 146 J 16PR
건설용 표기법
30.00 R 51 230 B
17.5 R 25 176 A2
17.5 R 25 167 B
40 / 65 R 39 228 A2
단면폭 편평비 구조 타이어내경 제품강도 하중지수 최고속도
16 / 75 - 20 18PR 151 B
37.50 - 51 44PR 237 A2
37.00 - 25 28PR 174 B
605 / 80 R 25 188 E
농경용 표기법
7.50 - 18 6PR
11.5 / 70 - 16 14PR
20.8 R 38 153 A8
단면폭 편평비 구조 타이어내경 하중지수 최고속도 제품강도
520 / 75 R 34 145 A8
210 / 70 - 15 2PR
230 / 95 R 48 140 A2

 

'자동차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말소  (0) 2008.05.29
자동차번호판관리  (0) 2008.05.29
10대중과실사고  (0) 2008.05.29
2008화물운송차량공급�증차기준  (0) 2008.04.30
정비소에서 흔히 쓰는 잘못된 표현  (0) 2008.04.30